본문 바로가기

IT 살이/04. 기술 - 인프라

네트워킹 장비 - 03. 백본 스위치

2015/10/27 - [01. 기술 - 인프라] - 네트워킹 장비 - 01. 허브, 스위치, 라우터

2015/10/27 - [01. 기술 - 인프라] - 네트워킹 장비 - 02. L2, L3, L4, L7 스위치

2015/10/27 - [01. 기술 - 인프라] - 네트워킹 장비 - 03. 백본 스위치

2015/10/28 - [01. 기술 - 인프라] - 네트워킹 기본 - 04. L4, L7 로드 밸런싱

2015/10/28 - [01. 기술 - 인프라] - 네트워킹 기본 - 05. LAN, WAN, VLAN

2015/11/05 - [01. 기술 - 인프라] - 네트워킹 기본 - 06. 프로토콜 개념

2015/11/08 - [01. 기술 - 인프라] - 네트워킹 기본 - 07. TCP/IP 4 계층 모델

2015/11/08 - [01. 기술 - 인프라] - 네트워킹 기본 - 08. 어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HTTP

2015/11/24 - [01. 기술 - 인프라] - 네트워킹 기본 - 09. TCP, IP, Ethernet 프로토콜 그리고 통신




▣ 백본 스위치

이것은 무엇일까?


백본은 장비가 아니다. 백본은 "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대규모 전송회선"을 말하는데, 그런 백본에서 스위칭 역할을 하는 스위치 장비를 백본 스위치라고한다. 백본 스위치 역할을 하는 장비는 모든 데이터가 거쳐서 지나가는 곳이다 보니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. 이 장비의 성능이 안 좋으면 이곳에서 병목(bottleneck)이 걸릴 가능성이 많다.

"백본 스위치"로 구글링을 해보면 다음 페이지가 검색된다 : 백본스위치란? 아래 그림은 이 페이지에 있는 그림중의 하나이다. 


( 그림 출처 : http://blog.naver.com/nds239/10029215369 )


앞에서 알아봤던 여러 종류의 스위치가 보인다. 라우터, L2스위치, 워킹 그룹 스위치( 이것도 L2 스위치로 구현되어 있다) 그리고 앞에서 보지 못한 L4 스위치 아이콘도 보인다.

위 그림에서 백본 스위치로 표시된 장비들은 주로 Layer 2, 3, 4용 스위칭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수위치들이다. 해서 레이어2,3,4에서 운용되는 모든 프로토콜에 대응해서 스위칭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( 아니면 말고...-_-;;)

다음은 아래 참조 페이지에 있는 그림이다. 


Figures.5 Backbone network design layers. LAN = local area network

( 그림 출처 : http://what-when-how.com/data-communications-and-networking/backbone-network-architectures-data-communications-and-networking-part-1/)


LAN에 있는 컴퓨터들을 묶어주는 스위치가 Distribution Layer에 있는 스위치들이고, 이 스위치들은 스위칭 허브 역할을 한다. 그리고 이 Distribution Layer에 있는 스위치들을 묶어 주는 스위치가 Core Layer에 있는 스위치이다. 이 스위치가 백본 스위치로서 우리가 흔히 PC에 설정해주는 게이트웨이의 IP가 이곳에 설정되어 있다. 

여튼 스위치의 개념을 알면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보기 쉬워진다. 다음의 기본적인 개념은 기억하자.


라우터 : Routing

L2 스위치(웤 그룹 스위치) : Flooding

L4스위치 : 로드 밸런싱


참조)

Backbone network architectures (Data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) Part 1

Backbone network architectures (Data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) Part 2